1.쥬피터 노트북 실행
쥬피터 노트북을 실행해보자. 쥬피터 노트북은 Anaconda3 폴더 안에 있다 클릭해서 실행해 주면
커맨드 라인이 실행되면서 자동으로 브라우저가 실행된다. 만약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아마도 C드라이브에 설치하지 않아서 일 것이다. 그렇다면 브라우저를 켜고 http://localhost:8888혹은 http://127.0.0.1:8888로 접속하면 쥬피터 노트북이 실행된다.
쥬피터 노트북의 기본 경로는 윈도우 기준 C:\Users\"사용자명" 이다.
2.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를 만드는 법은 폴더를 만드는 것과 같다. 오른쪽 상단의 New를 누르고 folder를 누르면 새 폴더가 생긴다.
폴더가 생성되면 Untitled Folder폴더가 생성이 되고 이름을 변경하고 싶으면 체크 버튼을 누르고 Rename으로 이름을 변경하면 된다.
3. 파이썬 파일 생성
이렇게 생성된 프로젝트 안에서 다시 new에서 Python3를 클릭하면 파이썬을 입력할 수 있는 파이썬 파일이 만들어진다.
이름을 바꾸고 싶으면 Untitled를 클릭하면 변경할 수 있다.
쥬피터 노트북은 다양한 기능이 있지만 여기서는 Code와 MarkDown두가지 모드를 사용한다.
Code는 말그대로 파이썬을 작성하는 코드이고 MarkDown은 MarkDown 문법으로 글을 작성하게끔 도와준다.
MarkDown문법은 구글에 검색하면 많이 나오고 간단하니 검색해서 학습하면 된다.
또한 Shift + Enter를 입력하면 해당 라인을 실행해 준다.
이렇게 쥬피터 노트북을 간단하게 알아 봤고 다음 장부턴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